티스토리 뷰

권토중래(來)는 捲: 말 권, 土: 흙 토, 重: 거듭 중, 來:올 래로 말을 타고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는 고사성어이다. 일이 한번 실패해도 재정비하여 그 일에 재차 도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권토중래(來) 유래 일화 이야기

 

오강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하여 최우를 맞이 했던 곳이다. 원래 두 사람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나누기로 했으나 유방은 항우를 살려두면 후환이 된다고 생각하여 그를 습격하여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추격해 포위하였다.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쳤는데, 부하 중 한 명이 강동으로 돌아가서 재기하자고 권하였다. 그러나 항우는 "강동에서 함께 같이한 8천 명의 장정들이 모두 죽었는데 무슨 낯으로 강동으로 돌아가겠나?"하고 하면서 마지막 최후의 결정을 치르다가 목을 베어 자결한다. 강동으로 돌아가 재정비를 하여도 이미 중원 전체를 장악한 유방을 상대하기에는 격차가 컸던걸 알았던 것이다. 그로부터 천년이 지나 당나라 후기 시인인 두목이 오강의 객사에 머무르다가 항우와 유방의 이야기를 떠올리고 지은 시가 '제오강정(題烏江亭)'이다. [이기고 지는 것은 병가지 상사라 예측하기 어렵나니, 수치를 참고 견디는 것이 진정한 사내대장부라, 강동의 자제들 중에는 뛰어난 인물들이 많으니, 흙먼지를 일으키며 다시 왔다면 결과는 알 수 없었으리] 이 시의 마지막 줄에서 권토중래(來)가 유래되었다. 

 

 

이 처럼 항우가 강동으로 후퇴하여 재기의 기회를 노렸다가 다시 유방과 대결했더라면 어떻게 되었을까? 하는 아쉬움에서 생겨난 '제오강정(題烏江亭)'시에서 유래된 권토중래(來)는 실패를 맛본 사람이 재정비하여 도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