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삼모사(朝三暮四)는 朝: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녁 모, 四: 넉 사로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게 라는 뜻으로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고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생각하고 행동하는 어리석은 상황을 나타낼 때 쓰이는 고사성어이다. 조삼모사(朝三暮四) 유래 일화 이야기 중국 전국시대 송(宋) 나라에 조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살았다. 이 사람은 원숭이를 너무 좋아해서 집에서 한, 두 마리 기르기 시작했다. 결국엔 수십 마리까지 늘어나게 되었고, 동고동락하다 보니 나중에 눈빛만 봐도 원숭이들의 마음을 알 수 있었고 의사소통까지 할 수 있는 단계까지 되었다. 점점 늘어나는 원숭이 숫자에 결국 먹이의 문제가 큰 부담이 되었다. 가족이 먹을 식량도 줄였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었다. 나중엔 도토리 밖에 남지 않았고..
호가호위(狐假虎威)는 狐: 여우 호, 假: 거짓 가, 虎: 호랑이 호, 威: 위엄 위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고사성어로, 실력도 없는 사람이 윗사람이 가진 권세를 이용하여 허세를 부린다는 뜻이다. 호가호위(狐假虎威) 유래 일화 이야기 뜻 풀이 중국 전국 시대 남쪽 초(楚) 나라에 소해휼(昭奚恤)이라는 재상이 있었다. 소해휼은 북방의 나라 사람들까지 두려워하는 존재였다. 실질적으로 그가 초나라의 실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어느 날 초나라의 왕은 신하들에게 한 가지 질문을 하였다. " 북방에 있는 모든 나라들이 소해휼을 두려워한다는데, 사실이냐?" 소해휼이 두려워 신하들은 아무 말도 못 했지만 강을(江乙)이 나서서 한 가지 우화를 이야기한다. " 호랑이는 무엇이든지 잡아먹을 수..
관포지교(管鮑之交)는 管:피리 관, 鮑: 절인 물고기 포, 之: 어조사 지, 交: 사귈 교로 관중과 포숙아의 사귐이란 뜻으로, 관중과 포숙아처럼 친구 사이의 변치 않는 두터운 우정을 뜻하는 고사성어이다. 관포지교(管鮑之交) 유래 일화 이야기 뜻 풀이 관중과 포숙아는 둘도 없는 친구였다. 그들은 동업으로 장사를 하였다. 관중은 항상 남몰래 자기 몫을 더 챙겨서 가져갔다. 이를 눈치챈 주변 상인이 포숙아에게 몰래 일러바쳤다. 포숙아는 " 관중은 나보다 식구가 많고, 가난하니 더 챙겨 가는 것은 당연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관중이 벼슬에 오르는 시험에 세 번이나 실패했을 때도 포숙아는 " 자네의 운때가 맞지 않는구만!" 하고 위로를 해주었고, 같이 전쟁터에 나갔을 때 관중은 항상 맨뒤어 있었고, 세 번이나 ..
등용문은(登龍門) 登: 오르다 등, 龍: 용 용, 門: 문 문으로 용문에 오른다는 고사성어로, 입신출세(立身出世: 세상에 몸을 우뚝 세우고 출세함)의 관문을 뜻한다. 등용문(登龍門) 유래 일화 이야기 뜻 풀이 중국 황하(黃河) 상류의 하진(河津)이란 곳에서는 물살이 강하여 배가 다닐 수가 없고, 물고기들 조차도 급류를 거슬러 올라갈 수가 없었다. 강과 바다의 큰 물고기들이 수천 마리나 모여있었지만 아무도 올라갈 수 없었다. 하지만 그 급류를 올라갈 수만 있다면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어 그곳을 용문(龍門)이라고 불렸다. 후한 시대는 환관들(거세된 남자로 궁중에서 벼슬을 하거나 유력자를 보조하던 자)의 힘이 커져서 충신들이 자신은 올바른 뜻을 펴지 못했다. 하지만 이응이란 자는 환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정의..
우공이산(愚公移山)은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 山:뫼 산으로 우공이라는 사람이 산을 옮긴 다는 고사성어로 남이 볼 때는 불가능하고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공이산(愚公移山) 유래 일화 이야기 옛날 중국 우공(愚公)이라는 90세의 노인이 살고 있었다. 그의 집 주변에는 태행산(太行山)과 왕옥산(王屋山)이라는 커다란 두 개의 산이 가로막고 있어 다른 마을로 가려면 매우 불편했다. 우공은 어느 날 가족들을 불러놓고 말했다. " 저 험한 산을 평평하게 만들어 다른 마을로 가는 길을 만드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 자식들은 찬성했으나 그의 아내는 남편 걱정이 되어서 돌과 흙을 어떻게 처리하냐..
권토중래(捲土重來)는 捲: 말 권, 土: 흙 토, 重: 거듭 중, 來:올 래로 말을 타고 흙먼지를 일으키면서 다시 돌아온다는 고사성어이다. 일이 한번 실패해도 재정비하여 그 일에 재차 도전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권토중래(捲土重來) 유래 일화 이야기 오강은 항우가 유방에게 패하여 최우를 맞이 했던 곳이다. 원래 두 사람은 홍구를 경계로 천하를 나누기로 했으나 유방은 항우를 살려두면 후환이 된다고 생각하여 그를 습격하여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추격해 포위하였다. 항우는 오강으로 도망쳤는데, 부하 중 한 명이 강동으로 돌아가서 재기하자고 권하였다. 그러나 항우는 "강동에서 함께 같이한 8천 명의 장정들이 모두 죽었는데 무슨 낯으로 강동으로 돌아가겠나?"하고 하면서 마지막 최후의 결정을 치르다가 목을 베어..
삼고초려(三顧草廬)는 三: 셋 삼, 顧: 돌아볼 고, 草: 풀 초, 廬: 오두막집 려로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고사성어이다.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참을성과 정성을 다 해야 된다는 뜻을 가지며 삼국지에서 유래되었다. 삼고초려(三顧草廬) 유래 일화 이야기 뜻 풀이 삼국지의 유비와 제갈량의 첫 만남은 이러하였다. 조조가 하북을 평정하니 제갈량은 형주가 다음으로 공격당할 것을 알았다. 형주자사로 있던 유표는 형주 주민들의 존경을 받고 있지만 군사에는 밝지 못했다. 제갈량은 북쪽으로 가서 유비를 만나보았다. 유비는 짐승 털을 꼬아서 장식품을 만드는 것을 즐겨했는데 그 모습을 본 제갈량은 " 장군께서는 원대한 뜻이 있어야 하는데 털이나 꼬고 계시는군요."하고 말하였다. 유비는 제갈량이 평범한 사람이 아니라고 생..
형설지공(螢雪之功)은 螢: 반딧불이 형, 雪: 눈 설, 之: 어조사 지, 功: 공(공적,공로) 공으로 반딧불과 눈에 비친 달빛으로 이루어낸 공이라는 사자성어로, 많이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 포기하지 않고 공부하여 성공이나 목표를 달성함을 뜻한다. 형설지공(螢雪之功) 유래 일화 이야기 옛날 중국 진(晉) 나라에 차윤이라는 소년이 있었다. 그는 밤낮으로 공부를 열심히 하였다. 그의 집은 가난하여, 등불을 켜는 데 사용하는 기름조차 살 돈이 없었다. 차윤은 밤에도 책을 읽고 싶어 했다. 하루는 밤에 집으로 돌아오는데 반딧불이가 눈에 띄었다. '그래 이거다!' 하고 생각한 차윤은 명주 주머니에 반딧불이 수십 마리를 잡아넣어 기기서 나오는 빛으로 밤에도 책을 읽었다. 이처럼 밤낮으로 꾸준히 노력한 끝에 상서랑(尙書..